앞선 글인 1탄에서 내 직무이고 기준에 맞는 기업이면 우선 지원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끝을 맺었습니다. 자기소개서에 대해 이야기하자고 했는데 경험 정리가 먼저 나왔어요. 경험 정리가 왜 필요한지부터 시작해서 자기소개서까지 쭉쭉 나아가보겠습니다. 1탄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입 취업 준비 가이드 1탄: 취업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신입 취업 준비 가이드 개요에서 어떤 내용을 다룰지 말씀드렸고, 이번에는 취업준비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대략적인 개요를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가이드 개요는 아래 링크에
a-brand-new-life.tistory.com
1. 경험 정리를 왜 하나요?
취업 준비는 회사에 나를 뽑으라고 설득하는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나에 대해서 잘 알아야 나의 장점을 잘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사를 설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사람은 생각보다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를 잘 알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내가 한 행동들을 톺아보면서 왜 이런 행동들을 했었는지 살펴보고 이유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내가 했던 일들을 정리해보면서 돌아보면 좋은 것 같습니다.
또한, 20대 후반~ 30대 초반에 다른 일을 하시다가 다시 신입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 경우에도 이전의 직장 경력과 삶의 노하우가 갑자기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전 직장 경험을 통한 나의 장점을 이 회사에서도 발휘할 수 있다는 설득을 하는 것이 아주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각종 경험에서 나의 핵심 가치를 뽑아내고 이를 직무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활용하신다면 커리어 측면에서 크게 성장하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또한, 지금 진행할 경험 정리가 앞으로 있을 자기소개서와 면접까지 취업 준비를 통틀어 아주 중요하게 작용하니 꼭!!!! 꼼꼼히 확인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2. 경험 정리 방법
1) 타임라인 정리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내가 어떤 일을 겪었는지를 시간에 따라 쭉 나열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냥 막연하게 내가 잘했던 경험이 무엇인지 돌아본다면 내가 뭘 하는 사람인지, 무엇이 장점인지 알 수 없거든요. 시간 순으로 쭉 보시면서 피드백도 받으시고 괜찮은 경험을 꼽아서 STAR 기법으로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제가 타임라인으로 쭉 정리했던 내용입니다.
저는 스무 살에 동아리 활동을 하고 아르바이트도 하고 교육봉사를 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특히 생각나는 에피소드나 두드러지는 경험이 있다면 아래에 줄글로 적어두면 좋은 것 같습니다. 저는 입시에 관해서 당시 저의 태도가 유별나게 생각나서 이를 기록했어요. 이제 저는 나이도 많고... 동아리나 아르바이트, 봉사활동을 내세울만한 때가 아니라서 저 경험들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갓 졸업한 혹은 졸업 예정인 대학생 분들은 저런 경험 하나 하나도 자기소개서 및 면접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니 꼭 정리를 해보세요. 정리하고 나서 본인이 생각하는 좋은 점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고 피드백을 받아보면 좋겠어요. 저도 아예 고등학생부터 지금까지 쭉 쓰면서 정리하고는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제 스스로의 장단점을 찾아내기도 했고요.
2) STAR기법
경험을 정리 하는 방법으로 가장 유명하고 많이 쓰이는 것으로 STAR기법이 있습니다. STAR기법은 Situation, Task, Action, Result의 앞 글자를 줄인 말으로 경험의 상황, 주어진 일, 내가 한 일, 그 결과로 정리하는 기법입니다. STAR기법이 중요한 이유로는 후에 이어질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입니다. 자기소개서도 STAR 구조로 작성을 하셔야 하며, 면접 시에도 STAR 구조로 말씀하셔야 합니다. 아래 제가 임의로 추가한 '수정한 STAR 기법'이 STAR 기법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아래 파트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외에 마케팅 기법으로 셀렉션이나 3C4P를 하시기도 하던데, 저도 해봤지만 어쨌든 그러한 기법을 사용하는 핵심은 내 경험에 대해서 확실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인데 굳이 항목마다 없는 부분을 끼워 맞춰서 생각해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오히려 마이너스였습니다.
3) 수정한 STAR 기법
저는 작년에 STAR 구조로 경험을 정리하고 자기소개서와 면접 준비를 순서대로 준비했는데, 자기소개서나 면접 준비 부분에서 대답을 못하거나 생각이 부족한 점이 있어 다시 경험정리로 여러 번 돌아간 적이 있습니다. 저는 STAR 구조로만 준비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이 보였습니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 'Obstacle'과 'Lessons learned'라는 항목을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경험 정리를 하는 이유가 이 경험을 통해 내가 기업을 어떻게 설득할지, 기업은 나에게 어떤 질문을 할 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하므로 '부각할 점'과 '생각해볼 점'도 추가적으로 적었습니다.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3. 수정된 STAR 기법 작성하는 법
앞서서 STAR기법과 그에 추가한 항목과 양식을 보여드렸는데, 이를 보여드려서는 아직 감을 못 잡으실 것 같아 제가 직접 정리한 내용과 작성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아주 상세하게 처음 작성한 이후에 제목만 추출하여 두 번 작성하면서 한 경험을 두 번 정리해본다면 자기소개서와 면접 대비를 한 번에 준비하실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정리
1) Situation
우선 자세히 씁니다. 각 항목에 해당하는 상황과 에피소드를 자세히 써요. 기재는 본인이 알아보기 좋으면 어떤 방식이든 좋습니다. 저의 경우 Situation을 내부와 외부로 나눠 내부에선 내 생각과 상황을, 외부에선 환경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하며 자유롭게 작성하였습니다. 또 프로젝트를 했다면 프로젝트의 개요에 대해서도 핵심과 상세 설명을 적기도 했어요.
2) Task - Obstacle - Action
적당히 경험의 경우 생각나는 대로 적기 좋겠지만, 긴 시간 동안 이어진 경험이라 핵심적으로 해야했던 일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보니 정리하기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또한 이전에 타임라인에서 그랬듯이 Task 부분에 해당 경험에 대해 해야 했던 일을 시간 순으로 나열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시간에 따라 해야 했던 일과 그에 따른 장애물, 또 장애물을 해치고 할 일을 하기 위해 했던 행동을 Obstacle과 Action에 써주어 병렬의 구조로 함께 써내려 갑니다. 따로 장애물이 없었다면 넘어가도 좋습니다.
3) Result - Lessons learned
해당 경험의 결과와 이 경험을 통해 배운 점을 생각해보고 적습니다. 결과까지는 확실히 적을 수 있는데 이 일로 인한 경험을 생각해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내가 이 경험에서 장애물을 해치는데 가장 많이 쓴 능력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 포인트를 중점적으로 교훈도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4) 총 정리
제 경험으로 위 사항에 대한 아주 대략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제가 던킨도너츠에서 아르바이트(Situation) 할 당시 도넛은 음식이니 재고가 남으면 폐기해야 하기 때문에 낮에 충분히 판매하되 밤에는 재고를 최대한 덜 남기는 것이 중요했어요. 밤 9시 이후의 재고를 최소화(Task)하기 위해서는 고객 입장에서는 도넛을 일일이 마음대로 고를 수 있지만, 선택지가 너무 많아 고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발견(Obstacle)하여, 손님들이 더 쉽게 접근하여 다양한 도넛을 맛볼 수 있도록 10,000원에 맞추어 다양한 도넛을 구성한 박스 판매(Action)를 통해 재고 문제를 해결(Result)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입장에서 어떤 불편함이 있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Lessons learned)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두 번째 정리
1) 제목만 추출하기
이 부분은 아주 쉬워요. 첫 번째 정리에서 아주 상세하게 본인의 경험에 대해서 작성하셨을 겁니다. 이에 대해 각 문단에서 핵심적인 주제만 추출하여 두 번째 양식에 정리하시면 경험 정리가 끝납니다. 이렇게 정리해두면 면접 전에 빠르게 내가 경험에서 강조할 부분을 훑어보고 들어가실 수 있어요.
2) 부각할 점과 생각해볼 점 쓰기
첫 번째 정리와 다르게 두 번째 정리에서는 경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돌아보고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정리를 쭉 하면서 남에게 설명도 해보고 경험에서 자랑할만한 점과 부족한 점이 있다는 것을 느끼셨을 겁니다. 느끼지 못하셨으면 지금부터 하면 됩니다.
(1) 부각할 점
정리한 경험에서 나를 자랑할만한 말들을 찾아보세요. 도전 정신, 적극성, 포기하지 않는 성실성 등 많이 있겠지만 도저히 생각나지 않으실 경우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역량에 대한 설명을 읽고 대충 이 경험에 맞는 것 같다 싶으면 선생님께선 그 역량을 갖추신 겁니다. 또한, 한 경험에서 뽑아낼 수 있는 역량은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닌지라 여러 역량을 생각해보면서 한 역량을 테마로 잡아 경험을 소개하는 것을 시뮬레이션 해보시면 좋습니다.
바른채용진흥원
바른채용진흥원-바른채용이 경쟁력이다
dic.irhr.kr
(2) 생각해볼 점
위 내용을 자기소개서로 작성하거나 면접에서 이야기할 때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점들을 정리합니다. 경험에 대한 약점이나 대답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대비를 위한 것이니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고 정리하세요.
정리하며
생각해볼 점에서 나온 예상 질문과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정리한다면, 그게 면접스크립트입니다. 또한, 두 번째로 정리하면서 최대한 간략하게 작성한 부분을 문맥에 맞추어 매끄럽게 잇기만 하면 자기소개서의 초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경험 정리를 하면서 자기소개서도, 면접 대비 스크립트도 작성이 됐죠? 아래는 제가 경험 정리하면서 작성한 면접 대비 스크립트의 일부입니다.
3. 제 사례 (환불 예측 프로젝트)
위 내용을 다 지켜가면서 작성한 저의 예시입니다. 실제로 지금도 사용하는 저의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정리입니다. 보안 상의 내용을 이유로 많은 부분이 삭제되었으며, 빨간 글씨로 표시된 부분은 제가 주요하게 생각해볼 점이었습니다.
환불 예측 프로젝트 예시
STAR 기법
prickly-plastic-5cd.notion.site
4. 누구나 자랑할만한 경험이 있습니다!
위 파트에서 보여드린 제 사례가 신입으로 생각하기엔 너무 대단한 경험이 아니냐고 생각하실까봐, 다음 챕터에서 누구나 있을 법한 경험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내가 뽑히기 위해서는 누가 봐도 이 직무에서 대단하고 입이 벌어질만한 경험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회사 입장에서는 그런 사람이 왜 우리 회사에 오려 하는지 궁금하고, 그 점이 납득이 안된다면 우리 회사와 오래 갈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하여 떨어뜨리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러니 일상적인 경험이라도 설득력 있게 이야기 하실 수 있다면 가능합니다.
이전에 제가 취업 스터디장으로서 첫 시간에 가장 자랑할만한 경험 하나만 꼽아서 자유롭게 소개해보시면 좋겠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중에 많은 분들이 "저는 자랑할만한 경험이 없어요"라고 하시더라고요. 하지만, 제목과 같이, 누구나 자랑할만한 경험이 있습니다! 취업은 자신감 싸움이기도 하니, 자신감을 꼭 갖고 작은 경험이라도 똑바로 당차게 이야기하세요~! 혹시 혼자서 스스로 자신감을 찾기 어려우신 분은 주변에서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계속 내 경험을 얘기하고 피드백을 받아보세요.
또한, 신입 포지션은 경력자처럼 특정 업무를 수행할 역량을 꼭 요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열정 있고 싹이 보인다는 이유만으로도 뽑힐 수 있습니다. 우선 자신감을 갖고 지원해보세요.
5. 일상에서의 경험 정리
누구나 자랑할만한 경험이 있다고 했지만 어떤 식으로 찾는지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제가 일상 경험을 하나 경험정리해보았습니다. 실제 제가 면접에서 저의 장점으로 얘기하는 경험이기도 합니다.
저는 아보카도 씨앗의 싹을 틔운 경험(결론(두괄식))이 있습니다. 21년 5월부터 아보카도 씨앗을 키우기 시작했으나 실제 싹이 나서 잎이 보이기까지는 5개월(Situation)이 걸렸습니다. 싹이 난 이후에야 기뻐하면서 제가 언제부터 물을 주기 시작했나 돌아보았습니다. 돌아본 결과, 제가 5개월동안 아보카도 씨앗의 물을 매일 갈아주었다는 점(Action)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저는 꾸준하고 성실하다는 장점(Result)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꾸준함과 성실함을 OO사에서도 발휘하여 제 역량의 싹을 틔우고 싶습니다.(결과를 통한 설득, 포부 밝히기)
어때요, 설득력이 좀 있다고 느껴지시나요? 이런 식으로 사소한 경험부터 대단한 경험까지 경험 정리를 3~4개 정도 준비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이렇게 정리한 경험을 어떤 식으로 잘 이어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지는 자기소개서 파트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렇게 정리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기소개서를 어떻게 작성했는지 설명드려보겠습니다.
※ 위 내용은 수정될 수 있습니다.
'Career 커리어 > 신입 취업 준비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입 취업 준비 가이드 5탄: 면접 준비 (0) | 2022.04.09 |
---|---|
신입 취업 준비 가이드 4탄: 인적성/AI역량검사/코딩테스트 (0) | 2022.02.14 |
신입 취업 준비 가이드 3탄: 자기소개서 작성법 (0) | 2022.02.10 |
신입 취업 준비 가이드 1탄: 취업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0) | 2022.02.03 |
신입 취업 준비 가이드 개요 (0) | 202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