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cientist 옌

매일 발전하는 IT문제해결사

Programing 프로그래밍/코딩테스트 문제풀이

[백준] 16단계 추가 문제

옌炎 2023. 8. 7. 10:37
728x90

1. [28278] 스택 2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1. 1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다. (1 ≤ X ≤ 100,000)
  2. 2: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3. 3: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4. 4: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5. 5: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stack_list = deque([])
for _ in range(n):
    order = input().split()
    
    if order[0] == '1':
        stack_list.append(int(order[1]))
        
    elif order[0] == '2':
        if stack_list:
            print(stack_list.pop())
        else:
            print(-1)
            
    elif order[0] == '3':
        print(len(stack_list))
        
    elif order[0] == '4':
        if stack_list:
            print(0)
        else:
            print(1)
            
    elif order[0] == '5':
        if stack_list:
            print(stack_list[-1])
        else:
            print(-1)

2. [12789] 도키도키 간식드리미

인하대학교 학생회에서는 중간, 기말고사 때마다 시험 공부에 지친 학우들을 위해 간식을 나눠주는 간식 드리미 행사를 실시한다. 승환이는 시험 기간이 될 때마다 간식을 받을 생각에 두근두근 설레서 시험 공부에 집중을 못 한다. 이번 중간고사에서도 역시 승환이는 설레는 가슴을 안고 간식을 받기 위해 미리 공지된 장소에 시간 맞춰 도착했다. 그런데 이게 무슨 날벼락인가! 그 곳에는 이미 모든 학생들이 모여있었고, 승환이는 마지막 번호표를 받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몇몇 양심에 털이 난 학생들이 새치기를 거듭한 끝에 대기열의 순서마저 엉망이 되고 말았다. 간식을 나눠주고 있던 인규는 학우들의 터져 나오는 불만에 번호표 순서로만 간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제야 학생들이 순서대로 줄을 서려고 했지만 공간이 너무 협소해서 마음대로 이동할 수 없었다. 다행히도 대기열의 왼쪽에는 1열로 설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여 이 공간을 잘 이용하면 모두가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자칫 간식을 못 받게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을 느낀 승환이는 자신의 컴퓨터 알고리즘적 지식을 활용해 과연 모든 사람들이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했다. 만약 불가능 하다면 승환이는 이번 중간고사를 망치게 될 것 이고 가능하다면 힘을 얻어 중간고사를 잘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사람들은 현재 1열로 줄을 서있고, 맨 앞의 사람만 이동이 가능하다. 인규는 번호표 순서대로만 통과할 수 있는 라인을 만들어 두었다. 이 라인과 대기열의 맨 앞 사람 사이에는 한 사람씩 1열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현재 대기열의 사람들은 이 공간으로 올 수 있지만 반대는 불가능하다. 승환이를 도와 프로그램을 완성하라.

현재 간식 배부 공간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 예제는 다음 그림과 같이 움직였을 때 모두가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queue = deque(list(map(int, input().split())))
stack = deque()

i = 1
while queue:
    if queue and queue[0] == i:
        queue.popleft()
        i += 1
    else:
        stack.append(queue.popleft())
    while stack and stack[-1] == i:
        stack.pop()
        i += 1
        
print("Nice" if not stack else "Sad")

3. [28279] 덱 2

정수를 저장하는 덱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

  1. 1 X: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 (1 ≤ X ≤ 100,000)
  2. 2 X: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 (1 ≤ X ≤ 100,000)
  3. 3: 덱에 정수가 있다면 맨 앞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4. 4: 덱에 정수가 있다면 맨 뒤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5. 5: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6. 6: 덱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7. 7: 덱에 정수가 있다면 맨 앞의 정수를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8. 8: 덱에 정수가 있다면 맨 뒤의 정수를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deque = deque([])
for _ in range(n):
    order = input().split()
    
    if order[0] == '1':
        deque.appendleft(int(order[1]))
        
    elif order[0] == '2':
        deque.append(int(order[1]))
            
    elif order[0] == '3':
        if deque:
            print(deque.popleft())
        else:
            print(-1)
        
    elif order[0] == '4':
        if deque:
            print(deque.pop())
        else:
            print(-1)
            
    elif order[0] == '5':
        print(len(deque))
        
    elif order[0] == '6':
        if deque:
            print(0)
        else:
            print(1)
    
    elif order[0] == '7':
        if deque:
            print(deque[0])
        else:
            print(-1)
    
    elif order[0] == '8':
        if deque:
            print(deque[-1])
        else:
            print(-1)

4. [2346] 풍선 터뜨리기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이 있다. 각 풍선 안에는 종이가 하나 들어있고, 종이에는 -N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하나 적혀있다. 이 풍선들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터뜨린다.

우선, 제일 처음에는 1번 풍선을 터뜨린다. 다음에는 풍선 안에 있는 종이를 꺼내어 그 종이에 적혀있는 값만큼 이동하여 다음 풍선을 터뜨린다. 양수가 적혀 있을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음수가 적혀 있을 때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할 때에는 이미 터진 풍선은 빼고 이동한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풍선 안에 차례로 3, 2, 1, -3, -1이 적혀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 3이 적혀 있는 1번 풍선, -3이 적혀 있는 4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5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3번 풍선, 2가 적혀 있는 2번 풍선의 순서대로 터지게 된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deque = deque(enumerate(map(int, input().split())))
ans = []

while deque:
    idx, baloon = deque.popleft()
    ans.append(idx+1)
    
    if baloon > 0:
        deque.rotate(-(baloon-1))
    else:
        deque.rotate(-baloon)

for i in ans:
    print(i, end=' ')

5. [24511] queuestack

한가롭게 방학에 놀고 있던 도현이는 갑자기 재밌는 자료구조를 생각해냈다. 그 자료구조의 이름은 queuestack이다.

queuestack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번, 2번, ... , 번의 자료구조(queue 혹은 stack)가 나열되어있으며, 각각의 자료구조에는 한 개의 원소가 들어있다.

queuestack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 을 입력받는다.
  • 번 자료구조에 삽입한 뒤 1번 자료구조에서 원소를 pop한다. 그때 pop된 원소를 이라 한다.
  • 번 자료구조에 삽입한 뒤 2번 자료구조에서 원소를 pop한다. 그때 pop된 원소를 이라 한다.
  • ...
  • 번 자료구조에 삽입한 뒤 번 자료구조에서 원소를 pop한다. 그때 pop된 원소를 이라 한다.
  • 을 리턴한다.

도현이는 길이 의 수열 를 가져와서 수열의 원소를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queuestack에 삽입할 것이다. 이전에 삽입한 결과는 남아 있다. (예제 1 참고)

queuestack에 넣을 원소들이 주어졌을 때, 해당 원소를 넣은 리턴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A = deque(map(int, input().split()))
B = deque(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C = deque(map(int, input().split()))

queuestack = deque([])
for i in range(N):
    if A[i] == 0:
        queuestack.appendleft(B[i])
else:
    if not queuestack:
        print(" ".join(str(k) for k in C))
        sys.exit()
        
for j in range(M):
    queuestack.append(C[j])
    print(queuestack.popleft(), end=" ")

 

728x90

'Programing 프로그래밍 > 코딩테스트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0단계: 재귀  (0) 2023.08.01
[백준] 19단계: 큐, 덱  (0) 2023.07.27
[백준] 18단계: 스택  (0) 2023.07.21
[백준] 17단계: 심화2  (0) 2023.07.19
[백준] 16단계: 조합론  (0) 202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