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7866] 문자와 문자열
단어 S와 정수 i가 주어졌을 때, S의 i번째 글자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S = input()
i = int(input())
S_list = []
for w in S:
S_list.append(w)
print(S_list[i-1])
2. [2743] 단어 길이 재기
첫째 줄에 영어 소문자와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최대 100이다.
S = input()
print(len(S))
3. [9086] 문자열
문자열을 입력으로 주면 문자열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N = int(input())
for _ in range(N):
S = input()
print(S[0]+S[-1])
4. [11718] 그대로 출력하기
입력 받은 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hile True:
try:
print(input())
except EOFError:
break
5. [2444] 별 찍기 - 7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print(' '*(N-i) + "*"*(2*i-1))
for i in range(N, 0, -1):
print(' '*(N-i) + "*"*(2*i-1))
6. [10988] 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이때, 이 단어가 팰린드롬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팰린드롬이란 앞으로 읽을 때와 거꾸로 읽을 때 똑같은 단어를 말한다. level, noon은 팰린드롬이고, baekjoon, online, judge는 팰린드롬이 아니다.
word = str(input())
if word == word[::-1]:
print(1)
else:
print(0)
7. [25206] 너의 평점은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기 위해서는, 전공평점이 3.3 이상이거나 졸업고사를 통과해야 한다. 그런데 아뿔싸, 치훈이는 깜빡하고 졸업고사를 응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치훈이의 전공평점을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전공평점은 전공과목별 (학점 × 과목평점)의 합을 학점의 총합으로 나눈 값이다.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등급에 따른 과목평점은 다음 표와 같다.
A+ | 4.5 |
A0 | 4.0 |
B+ | 3.5 |
B0 | 3.0 |
C+ | 2.5 |
C0 | 2.0 |
D+ | 1.5 |
D0 | 1.0 |
F | 0.0 |
P/F 과목의 경우 등급이 P또는 F로 표시되는데, 등급이 P인 과목은 계산에서 제외해야 한다. 과연 치훈이는 무사히 졸업할 수 있을까?
chihoon = []
for _ in range(20):
s, c, g = map(str, input().split())
chihoon.append([s, int(float(c)), g])
gpa = 0
credit = 0
for i in range(len(chihoon)):
if chihoon[i][2] == 'A+':
gpa += 4.5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A0':
gpa += 4.0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B+':
gpa += 3.5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B0':
gpa += 3.0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C+':
gpa += 2.5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C0':
gpa += 2.0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D+':
gpa += 1.5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D0':
gpa += 1.0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F':
gpa += 0.0 * chihoon[i][1]
credit += chihoon[i][1]
elif chihoon[i][2] == 'P':
pass
print(round(gpa/credit, 6))
8. [10798] 세로읽기
아직 글을 모르는 영석이가 벽에 걸린 칠판에 자석이 붙어있는 글자들을 붙이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이 장난감에 있는 글자들은 영어 대문자 ‘A’부터 ‘Z’, 영어 소문자 ‘a’부터 ‘z’, 숫자 ‘0’부터 ‘9’이다. 영석이는 칠판에 글자들을 수평으로 일렬로 붙여서 단어를 만든다. 다시 그 아래쪽에 글자들을 붙여서 또 다른 단어를 만든다. 이런 식으로 다섯 개의 단어를 만든다. 아래 그림 1은 영석이가 칠판에 붙여 만든 단어들의 예이다.
A A B C D D
a f z z
0 9 1 2 1
a 8 E W g 6
P 5 h 3 k x
<그림 1>
한 줄의 단어는 글자들을 빈칸 없이 연속으로 나열해서 최대 15개의 글자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만들어진 다섯 개의 단어들의 글자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심심해진 영석이는 칠판에 만들어진 다섯 개의 단어를 세로로 읽으려 한다. 세로로 읽을 때, 각 단어의 첫 번째 글자들을 위에서 아래로 세로로 읽는다. 다음에 두 번째 글자들을 세로로 읽는다. 이런 식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 자리씩 이동 하면서 동일한 자리의 글자들을 세로로 읽어 나간다. 위의 그림 1의 다섯 번째 자리를 보면 두 번째 줄의 다섯 번째 자리의 글자는 없다. 이런 경우처럼 세로로 읽을 때 해당 자리의 글자가 없으면, 읽지 않고 그 다음 글자를 계속 읽는다. 그림 1의 다섯 번째 자리를 세로로 읽으면 D1gk로 읽는다.
그림 1에서 영석이가 세로로 읽은 순서대로 글자들을 공백 없이 출력하면 다음과 같다:
Aa0aPAf985Bz1EhCz2W3D1gkD6x
칠판에 붙여진 단어들이 주어질 때, 영석이가 세로로 읽은 순서대로 글자들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characters = []
for _ in range(5):
characters.append(str(input()))
vertical = ''
for i in range(15):
for j in range(5):
try:
vertical += characters[j][i]
except IndexError:
vertical += ''
print(vertical)
'Programing 프로그래밍 > 코딩테스트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단계: 직사각형과 삼각형 (0) | 2023.06.26 |
---|---|
[백준] 8~9단계: 추가문제 (0) | 2023.06.21 |
[백준] 1~4단계: 추가문제 (0) | 2023.05.24 |
[백준] 9단계: 2차원 배열 (0) | 2023.02.16 |
[백준] 8단계: 기본 수학2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