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cientist 옌

매일 발전하는 IT문제해결사

Programing 프로그래밍/코딩테스트 문제풀이

[백준] 6단계: 함수

옌炎 2022. 2. 9. 15:51
728x90

1. [10818] 최소, 최대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이때,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A = map(int, input())
B = list(map(int, input().split()))
print(min(B), max(B))

2. [4673] 셀프넘버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141, ...

n을 d(n)의 생성자라고 한다. 위의 수열에서 33은 39의 생성자이고, 39는 51의 생성자, 51은 57의 생성자이다. 생성자가 한 개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101은 생성자가 2개(91과 100) 있다. 생성자가 없는 숫자를 셀프 넘버라고 한다. 100보다 작은 셀프 넘버는 총 13개가 있다. 1, 3, 5, 7, 9, 20, 31, 42, 53, 64, 75, 86, 97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셀프 넘버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numbers = set(range(1,10001))
ctors = set()

for i in range(1, 10001):
    for j in str(i):
        i += int(j)
    ctors.add(i)

selfnumbers = sorted(numbers - ctors)
for i in selfnumbers:
    print(i)

3. [1065] 한수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n = int(input()) #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hansu_cnt = 0

for i in range(1, n+1):
    
    num_list = list(map(int, str(i)))
    
    if i < 100:
        hansu_cnt += 1 # 100보다 작으면 모두 한수
        
    elif num_list[0] - num_list[1] == num_list[1] - num_list[2]:
        hansu_cnt += 1

print(hansu_cnt)

 

5단계보다 갑자기 어려워졌네요! 풀기 전에 주어진 개념의 특징을 생각해서 추리는 게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728x90